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야기/오늘의 역사

1995. 04. 28 - 대구 지하철 가스폭발사건

ⓒ구글 이미지

 

1995년 4월 28일 대구 지하철 공사장에서 매립되어있던 가스관이 폭발하여,

국내 지하철 공사 사상 최대 규모의 가스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대구 상인동 지하철 가스폭발사고 원인규명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도시 가스사업법'가스배관은 지하 1m 이상 깊게 매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상인동 가스폭발사고의 경우에는 가스관이 불과 지하 30cm에 묻혀 있었다. 또한 지하철 공사장과 같은 대형공사장에서 지하굴착작업을 할 경우에는 해당지역에 가스관을 매설한 가스회사와 연락해 관이 묻힌 위치 등을 문의한 후 공사를 하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 공사관계자들이 주먹구구식으로 공사를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할관청의 담당자들도 현장관리에 소홀하여 안전조치를 원칙대로 실시하지 않아 대형 재난으로 이어졌다. 상인동 가스폭발사고의 경우 지하굴착작업에 앞서 가스관·상수도관 등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도면으로 정확히 확인하고 수작업을 통한 작업을 시행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스관이 파손된 곳에서 용접작업을 하던 불꽃이 튀어 대형 재난이 발생한 것이다. 사전에 공사업자들이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수작업을 통해 원칙대로 작업을 실시하고, 공사감리자들과 담당관료들이 현장감리를 철저히 하는 안전조치를 취했더라면 상인동 가스폭발사고는 막을 수 있었다. 또한 도시가스회사 직원이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하는 도중 폭발이 발생하자 황급히 사고지점 인근의 맨홀을 뛰어다니며 4개소의 벨브를 손으로 조작하여 비로소 가스공급을 차단할 수 있었다. 즉 가스누출에 따른 자동경보 및 대응체제가 부족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각 가스회사의 근무인원이 소수에 불과하여 도심지 지하에 광범위하게 매설되어 있는 가스관로 주변의 안전 점검이 허술할 수밖에 없었고, 광범위하게 매설되어 있는 가스관로 주변의 안전시 출동이 어렵다. 따라서 누출지점 파악이나 수작업에 의한 밸브차단 등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구글 이미지

 

대구 지하철 가스폭발사건은 폭발음과 함께 50m에 달하는 불기둥이 치솟았으며, 지하철 공사장 복공판 400m 구간이 내려앉아 차량 150대가 파손되고 주택, 건물 등 80여 채가 파괴되었다. 그리고 등교 중이던 학생 42명을 비롯하여 사망 102명, 부상 117명 등 22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피해액은 약 600여 억원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