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톡피아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회] 해수욕장 식인상어 우리나라는 안전한가?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우는 서귀포 앞바다에서 백상아리가 출몰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러시아 극동 연해주 지역 해수욕장에서는 여러명의 사람들이 식인상어 백상아리의 공격을 받았다고 한다. 러시아 같은 경우에는 올해 해수욕장에 백상아리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오렌지색 그물망을 설치하였다. 우리나라 해수욕장인 해운대나 경포대, 몽돌해수욕장 같은 곳에서도 이러한 안전망이 설치 되어있을까? 수백만 명이란 사람들이 모여드는 해수욕장에서, 치안과 안전 그리고 쾌적한 환경까지 유지되고 나서 관광객을 유치하여야 그 지역의 관광지가 더 발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단순히 여름 한철의 관광행사로서, 바가지 요금을 씌워가며 돈만 벌 생각을 하지말고, 내년에 또 찾을 수 있는 곳을 만드는게 진정한 관광지를 만드는 것이 아닐까 하는.. 더보기 1969. 07. 20 - 인류 최초의 달착륙 (닐 암스트롱) 오늘은 1969년 7월 20일 인류최초로 미국의 닐 암스트롱이 '달에 착륙한 날'이다. 이전의 우주개발은 어땠을까? 우주개발 = 러시아라고 할만큼 사실상 러시아는 당시 미국에게 감당키 어려운 우주 라이벌이었다.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이라는 이름을 세계인의 뇌리 속에 각인시킨 보스토크 우주선의 세계 최초 유인비행, 우주 공간에서의 우주선 도킹 성공, 최초의 여자 우주비행사의 우주비행, 인류 최초의 우주유영 등 ‘우주개발=러시아’라는 등식을 각인시키는 획기적인 기록들이 러시아에서 잇따라 터져 나왔다. 1959년에는 달을, 이듬해에는 금성을, 1971년에는 화성에까지 우주선을 보내 무인 착륙 또는 근접 거리에서 이들 천체를 관측하는데 성공한 것도 러시아였다. 그러나 이같은 일방적인 독주는 1969년 7월 20.. 더보기 [정치]박근혜 "맞벌이 부부에 방과후 돌봄서비스" ⓒ연합뉴스 새누리당 유력 대선주자인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19일 부산을 찾아 `모든 맞벌이 부부에 대한 방과후 돌봄서비스 제공'과 `아빠 출산휴가' 장려 등을 골자로 한 여성 정책을 발표하며 여성 표심을 공략했다. 박 전 위원장은 여성이 일과 가정을 함께 챙길 수 있는 국가를 만들기 위해▲여성의 임신ㆍ육아부담 덜어주기 ▲가족 친화적인 근무환경 제공 ▲일과 가정 양립 지원제도의 사각지대 없애기 등 3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이밖에도 ▲여성 관리직 고용 시정권고 대상 업종내 평균 60% 이하에서 70% 이하 기업까지 확대▲여성관리직 비율이 높은 우수기업에 정부 조달 계약시 우선권 제공 등도 여성 공약으로 제시. 더보기 [사회]"나 서울대 출신이야"라는 그 남자, 알고 보니 20여년간 서울대 출신으로 행세하며 수억 원을 가로챈 40대가 경찰에 구속됐다. 경기도의 한 고교를 졸업한 김씨는 가족에게 서울대 경제학과에 입학했다고 속이고 실제 1994년 졸업식에 참석해 학사모를 쓴 사진까지 찍었다. 최근에는 서울대 동창회가 만드는 인명록에 이름을 넣어 버젓이 행세해 왔다. 김씨는 각종 동호회에서 총무 등을 맡아 회비를 가로채기도 했다. 돈을 빌려준 뒤 돈을 받지 못하는 피해자도 있었으며 김씨로 인해 직장을 잃은 피해자도 있었다. 자신과 가족마저 속이면서 까지 학벌과 재력을 가지했던 그. 알게 모르게 학벌과 재력이 중시되는 사회가 만들어낸 비극이 아닐까 한다. 원문보기(클릭) 서울대 출신 보험사 지점장 사칭 수억 원대 사기행각 40대 덜미 - http://www.nocutnews.c.. 더보기 [정보] 아이디어와 기술 그리고 패기 '벤처기업' 대학생들의 창업에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일까? 등록금 문제에 빠져있는 우리내 대학생들은 창업을 하는데 큰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정작 자기 자신의 사업을 하고 싶어도 미리부터 꿈을 접고 회사에 들어가거나 공무원이 되기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 큰 자본금을 필요로 하진 않지만 대학생의 톡톡튀는 아이디어와 기술 그리고 패기만 있다면 창업할 수 있는 종목이 있다. 흔히들 들어보았을 텐데, 바로 벤처기업이라는 분야이다. 오늘 이러한 창업의 한 분야인 '벤처기업'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벤처기업이란? (작은 것이 강점이다) 원래 그대로 의미를 보면 '모험적인 경영을 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모험의 사전적인 뜻대로 보면 '위험스런 고비를 무릅쓰고 확실치 않게 도전한다'는 .. 더보기 [문화] 한국인에게는 위험한 필리핀 여행 ⓒKBS NEWS 저렴한 비용으로 여행을 할 수 있는 '필리핀'은 한국인이 많이 가는 관광지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필리핀도 더 이상 한국인들에게 안전한 나라가 아니다. 필리핀에서 한국인이 한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저지르는 범죄가 잇달아 벌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납치·폭행을 동반하는 등 점점 흉폭해지는 추세다. 경찰은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필리핀에 국내 범죄자들이 대량 유입되고 있으며, 교민 중에서도 현지 적응에 실패한 일부가 범죄 집단화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필리핀을 찾는 한국인 관광객은 1년에 80만여명에 달한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16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2006~2010년 필리핀 체류 한국인 범죄 피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필리핀에서 행방불명된 사람은 95명, 살.. 더보기 [사회]웃기는 고졸 채용 박람회, 실제 채용계획 달랑 1곳 정부가 '열린 고용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 그러나 박람회에 참여하는 대기업 중 채용 계획이 있는 곳은 SK그룹 뿐 대대적 홍보에 비해 내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신(新)고졸 시대 대규모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작 채용박람회에서 주요 기업들의 채용 계획은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대기업 중에서는 SK그룹 7개 계열사가 조리직 등 200여명을 채용하는 것이 전부다. 이외에 게임업체인 넥슨코리아가 40여명을, 경남 거제의 주영기업 등 5개 지역의 강소기업들이 채용 계획을 밝혔다. 뜻 깊은 자리가 마련된 만큼 좋은 성과와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기회의 창이 있었으면 좋겠다. 원문 보기(클릭) "학력·스팩 NO!"..고졸자 위한 채용 박람회 열린다 - http://w.. 더보기 [사회]'노스페이스 코리아' 기업가치 1조 근접 국내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1위 업체 '한국 노스페이스(법인명 골드윈코리아)'의 기업 가치가 최대 9273억 원인 것으로 평가됐다. 노스페이스는 국내에서는 사회적 이슈가 될 만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의류 브랜드다. 골드윈코리아는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를 비롯해 '에이글(Aigle)'과 '골드윈(Goldwin)'이라는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나, 작년 매출의 95%는 노스페이스에서 발생했다. 이번 평가는 경영권을 가진 영원무역홀딩스가 스스로 회계법인에 의뢰해 도출한 평가결과인 만큼 국내에서 '노스페이스'의 가치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신빙성 있는 수치라는 의미가 있다. 원문보기(클릭) “중고딩 일진 옷 못입겠다” 노스페이스 흔들 - http://news.donga.com/3/all/20120.. 더보기 [건강]느려지는 보행속도, 치매 예고신호? 느려지는 보행속도와 걸음걸이의 변화가 알츠하이머 치매의 예고신호일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보행의 속도와 걷는 모양의 변화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다는 3편의 연구논문이 미국알츠하이머병학회 연례학술회의에서 발표되었다. 노인을 대상으로 15개월에 걸쳐 두 차례 이상 인지기능 테스트를 실시하고 걷는 모습을 분석한 결과 보행속도가 느려지고 보폭이 짧아지는 것이 기억력 등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치매환자는 치매로 이행되는 과정으로 간주되는 경도인지장애(MCI) 노인보다 보행속도가 느리고 MCI 노인은 건강한 노인보다 보행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원문보기(클릭) 혈압 높은 고령자들 '걸음 속도' 느리다 - http://www.mdtoday.co.kr/m.. 더보기 [경제]기업들 휴가 일수 늘리고 휴가비 줄였다 기업들 휴가 일수 늘리고 휴가비 줄였다. 경기침체 영향으로 휴가일수↑ 휴가비↓. 계속 되는 경제침체로 의 여파가 하계휴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기업들은 여름(하계) 휴가 일수를 늘렸지만 휴가비는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올해 직원들에게 부여하는 여름휴가 일수는 평균 4.2일(대기업 5.0일, 중소기업 3.9일)로 작년보다 0.2일 증가한 데 비해 지급하는 휴가비는 평균 43만3000원으로 작년 44만5000원보다 2.7%(1만2000원) 줄었다. 생산물량 감소와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인해 지난 2009년 이후 처음으로 하계휴가 일수가 늘어난 반면, 하계휴가비를 지급하는 기업의 비중과 휴가비는 줄었다는 것이다. 휴가 일수가 늘어났다고 해서 좋아해야할 일은 아니다. 그만큼 휴가비가 줄었기 때.. 더보기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