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야기/오늘의 역사

1948. 04. 03 - 제주 4.3 사건 발발

제주 4·3 사건은 8·15광복 이후 남한에서의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5·10 총선에 반대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남로당 제주도당 당원 김달삼 등 350여 명이 무장을 하고
제주도 내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제히 급습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서북청년단, 민족청년단, 독립촉성중앙회 등 극우단체 회원들이 희생되었고,
이에 분노한 극우 세력은 극우 세력대로 살상을 자행했다.

여기에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극우단체의 횡포에 대한
제주도민들의 반감도 터져나와 유혈사태는 크게 번져나갔다.

이로 말미암아 제주 전역에 행정기능이 마비되는 등 심각한 치안불안상태가 지속되었다.
이 제주 4·3사건은 한국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인적피해를 보면, <제주4.3특별법>에 의한 조사결과 사망자만 14.000여명에 달한다.
사건을 일으킨 주역 중 이덕구는 6월에 경찰관 발포로 사살되었고,
김달삼은 그해 6월말 9월의 해주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에 참석차 제주도를 빠져나갔지만
학살은 1952년 한국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제주도가 일제강점기부터 좌익계열 활동의 전통이 강한 지역이었으며,
광복 후 도민들의 적극적인 지지 속에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가 활발히 활동했는데,
특히 제주도 인민위원회는 다른 지역과 달리 미군정청과 협조적이었던 점을 들 수 있다.

제주 4·3 사건은 30여 만 명의 도민이 연루된 가운데 실제 무장대와 연관되지 않은
무고한 도민들이 소위 빨갱이로 몰려 2만5천~3만 명의 학살 피해자가 발생하기도 하여
대한민국 건국과정에서 발생한 가장 비극적인 양민학살로 언급되기도 한다.

 


참고자료 : 위키피디아 제주 4.3사건